본문 바로가기

퍼포먼스 마케팅

구글에서 노출 잘 되는 블로그, GA 붙일 수 있는 블로그, 티스토리

 

 나를 블로그의 세계로 이끈 신사임당 님과 노마드클로이 님의 영상

돈 벌려면 '이것'만 30개만 만들어보세요 (노마드클로이) (www.youtube.com/watch?v=rAsDQXJcMTw)

 

# 1  블로그를 시작한 계기

 

지난 일년 정도 투잡, 사이드잡, 1인 창업 같은 키워드에 꽂혀서 무엇을 어떻게 해볼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다들 강점을 찾고 그걸로 돈을 벌라고 하는데, 내가 이걸 잘한다는걸 사람들이 알아줘야 돈이 되지 않겠어요? 증명할 방법이 시원치 않다는 게 문제였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블로그로 퍼스널 브랜딩을 해서 프리랜서 전업에 성공한 노마드클로이님의 이야기를 보고 아(!) 하고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블로그를 하면서 내가 뭘 할 줄 아는지, 뭘 공부하고 있는지 기록을 남기면 되겠더라고요.

 

 

# 2  블로그 플랫폼을 고르는 기준

 

그렇게 제가 고민하던 지점과 맞아떨어져서 블로그를 시작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블로그를 하기로 정하고나니 이제 어떤 블로그 플랫폼을 써야할지 고민이 되었는데요. 고려했던 요소는 크게 2가지였습니다.

  1. 구글에서 검색 노출이 잘 될 것

  2. 구글 애널리틱스 (GA), 구글 태그 매니저 (GTM) 와 연동이 될 것

 

△ 하락세 네이버와 급상승 중인 구글

출처: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3242 

 

구글 검색노출을 원했던 이유는 오랫동안 국내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던 네이버는 검색 포털 시장에서 구글에 자리를 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도 정보를 검색할 때는 주로 구글에서 검색하고 있고 앞으로 구글 검색이 더 점유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광고성 글이 많아지면서 네이버 블로그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것도 한 몫 했고요

 

 

△ 구글 애널리틱스 (GA)

 

구글 애널리틱스 (GA)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활동을 하는지 통계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무료 툴입니다. 제가 데이터분석가로 일하면서 데이터를 다루다보니 제가 운영할 블로그의 데이터도 확인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구글 태그 매니저 (GTM) 는 GA 세팅을 할 수 있는 툴이기도 하고,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이용해 페이스북이나 구글 광고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툴입니다. 나중에는 GTM 을 활용해 페이스북 픽셀을 심고 광고에 활용까지 하면 좋겠다고 야무지게 꿈을 꿔봤습니다.

 

 

# 3  블로그 플랫폼 선택

 

위의 두가지를 고려해 어떤 블로그 플랫폼이 좋을지 알아봤습니다. 

블로그 플랫폼 구글 검색 노출이 잘 될 것 GA / GTM 연동이 될 것 개발 필요 없음
네이버 블로그 X X O
티스토리 O O O
브런치 ? X O
미디움 ? X O
깃헙 블로그 O O X
워드프레스 O O X
노션 ? GA 만 수동으로 가능 O

참고: 블로그 플랫폼별 특징을 잘 정리해주신 브런치 글

 

1. 네이버 블로그, 브런치, 미디움

우선 GA / GTM 연동이 대부분의 블로그 플랫폼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기능이라 네이버 블로그, 브런치, 미디움은 제외했습니다. 특히 미디움은 한글 가독성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2. 깃헙 블로그 Github Blog

△ 깃헙 블로그 예시

https://datarian-kr.github.io

출처: 여성 데이터 분석가 커뮤니티 데이터리안 (https://datarian-kr.github.io)

 

깃헙에서 테크블로그를 만들면 디자인, 기능도 커스텀할 수 있고 GA, GTM 까지 다 연결 가능하지만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공부해야한다는 점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이미 개발을 할 줄 아는 분들의 경우에는 해볼만 할 것 같은데요. 특히 테크 관련 블로그는 직접 개발한 깃헙 블로그를 많이 쓰시는 것 같습니다. (깃헙블로그 개발하기: 지킬 )

 

3. 워드프레스 Wordpress

워드프레스도 깃헙 블로그와 비슷한데 거기에 추가로 호스팅도 구매해야하고 검색에 잡히기 위해서는 사이트 등록도 해줘야하는 등 더욱 더 번거로운 점들이 많았습니다. 결제도 붙일 수 있고 커스텀 자유도가 아주 높아서 기업에서 초기 웹사이트로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4. 브런치 Brunch

브런치의 경우에는 작가로 포지셔닝 되어 있는 점도 좋고 카카오톡 채널에 올라가는 게 큰 메리트입니다. 다만 GA 는 연동이 되지 않고요. 그리고 기존 블로그와 브런치를 병행해서 운영하는 분들이 꽤 있는 것 같아서 우선 제외했습니다. 블로그를 만든 후에 브런치 작가 신청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5. 노션 Notion

△ 노션 블로그 예시

출처: 안전가옥 (safehouse.kr)

 

노션은 생산성 툴로 흔히 알려져 있는데요. 대-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비대면 업무가 늘어나면서 주목받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저는 평소에도 노션을 아주 잘 쓰고있어서 노션으로 블로그를 만드는 방법에 눈이 갔는데요. 노션의 경우 블로그 기본 통계를 확인할 수 없고 수동 세팅으로 GA 를 연결할 수는 있지만(노션에서 GA 트래킹하는 방법) 페이지마다 일일이 트래커를 심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검색에서 잘 노출이 될지 확신이 없기도 했고요. 노션 블로그를 운영하는 절대적인 수가 적어서인지, 알고리즘 상 노출이 안되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6. 티스토리 Tistory

결국 GA와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제공하는 티스토리를 선택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네이버 블로그보다 노출이 잘되기도 하고요. 만들 당시에는 몰랐지만 GTM도 연동이 가능하더라고요.(!)(티스토리 GTM 연동하기) 구글 애드센스로 나중에는 광고수익도 얻을 수 있는 점도 좋았습니다.

 

 

# 4  다음에 할 일

 

이제 블로그를 만들었으니 GA 와 GTM 을 세팅해볼 차례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GA, GTM 세팅을 하는 과정을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